티스토리 뷰

생활정보

외화 송금 받기

초롱이의 생활정보 2017. 4. 3. 08:24


외화 송금 받기

안녕하세요! 유익한 생활정보 입니다. 최근 시중은행들을 이용하여 외화 송금 받으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여러분들께 송금 수수료도 절약하시고 기본적인 외화 송금 받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또한 시중은행들은 해외로부터 외환 송금 받았을때 외화통장으로 받아서 외화로 받을 수 있거나 원화로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초롱이의 생활정보를 통해 외화 송금 받기 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외화 송금 받기 위하여 알아야할 기본적인 정보가 필요한데 은행의 고유번호인 스위프트 코드와 은행영문명, 은행계좌번호 등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은행의 스위프트 코드는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은행 식별코드로 국제 은행간 통신협회로 각국의 주요 은행 상호 간의 지급과 송금 업무 따위를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행함을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법인에서 만든 각각의 은행마다 고융의 코드를 의미합니다. 정식명칭으로는 Sc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 의 약자를 사용하여 swift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은행별 고유의 swift code 는 어떤 기준으로 만들어지는가를 알아볼 필요가 있는데 보통 8개에서 11개의 문자로 이루어지는데 앞의 4자리는 은행코드, 다음 2자리는 국가코드, 다음 2자리는 지역코드, 마지막 3자리는 지점코드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외국으로부터 외환 송금 받기 위해서는 은행 계좌가 필요한데 그다음으로는 영문은행명, swift code , 영문주소가 필요합니다. 우리나라 시중은행의 기본자료를 아래와 같이 정리해보았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거래은행의 고객선터로 문의가 필요합니다.







여러분들께서 혹시 우리은행이나 경남은행의 swift code 에서 보실 수 있는 마지막 3자리가 xxx로 표기되어 있는데 위에서 swft code 구성이 어떨게 이루어지는가는 설명드렸는데 지점코드라고 보시면됩니다. 제 경험상으로는 마지막 뒤의 3자리 문자없이도 가능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은행별 외화 송금 받을때 수수료가 발생하는데 은행마다 외화 송금 수수료가 다르기 때문에 수수료를 절약하시기 위해서는 각각 은행의 외화 송금 수수료를 비교하셔야 하고 전국은행인 연합회에서 모든 은행의 외화 송금 수수료를 한눈에 확인 가능하십니다.



이상과 같이 해외로부터 외화 송금 받기 에 대하여 유익한 생활정보에서 알아보았는데 여러분들께서 해외에서 외화 송금 받으실때 알아야할 기본적인 사항을 설명드렸는데 더 자세한 사항은 여러분들께서 직접 은행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