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생활건강

안구 건조증 예방 및 대처법

초롱이의 생활정보 2017. 10. 30. 17:09


안구 건조증 예방 및 대처법

찬바람에 건조해진 눈.... 대기 습도가 낮아지는 가을철이되면 우리 눈도 덩달아 건조해집니다. 이맘때면 면역력이 떨어지는 환절기까지 겹쳐 안구 건조증에 걸리기 쉽습니다. 모래가 들어간 것처럼 눈이 뻑뻑하거나 자주 충혈되는게 안구 건조증 주요 증상입니다. 오늘 유익한 생활 정보 에서는 안구 건조증 예방 및 대처법 에 대하여 알아볼까 합니다.





안구 건조증 이란 눈물의 양이 줄어들어 눈이 건조된 상태입니다. 눈의 건조와 피로, 이물감, 가려움, 충혈, 눈꼽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됩니다. 원인은 눈의 혹사와 건조 등의 생활습관과 질환에 의한 것이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가능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모니터를 계속해서 바라봄으로 인해서 정상적인 눈의 깜빡임 감소

PC, 비디오 게임기, 휴대전화 등의 모니터 화면을 오랫동안 계속보고 있으면 무의식적으로 눈 깜빡임의 횟수가 줄어듭니다. 정상적인 눈 깜빡임을 하지않으면 눈물의 분비가 줄어들거나 눈물이 증발해 눈이 건조되는 안구건조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2. 에어컨이나 계절의 영향에 의한 공기의 건조

냉난방이 완비된 객실은 실내가 건조하기 때문에 안구 건조증 발생하는 원인이됩니다. 또한 공기가 건조하기 쉬운 겨울이나 바람이 부는날에도 눈이 건조하기 쉬운 환경입니다. 또한 공기의 오염은 눈을 자극하여 눈의 건조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3.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자율신경의 혼란

일이나 공부로 인한 스트레스 , 피로, 수면부족, 늦은밤까지 활동하는 생활 스타일 등은 자율신경의 기능을 어지럽히고, 눈물의 분비를 감소시켜 눈의 건조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4. 장시간 콘택트 렌즈 착용

콘택트 렌즈 장시간 착용은 눈물이 각막에 충분히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눈이 건조하기 쉬워집니다.





안구건조증을 동반하는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눈물샘의 염증

눈꺼풀의 가장자리에 많이 분포되어있어 눈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지방을 분비합니다. 여기가 마스카라 찌꺼기나 분비물 등으로 막힐경우 지방의 분비가 감소되어 눈물이 증발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눈이 건조하기 쉽습니다.

2. 쇼그렌 증후군

신체의 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겨 자신의 몸을 공격하는 질환입니다. 눈물샘과 침샘 등 전신의 분비선이 파괴되어 심한 안구 건조증 이나 입안의 건조, 피부의 건조를 일으키게됩니다. 50대를 정점으로 40~60 대에 많이 보이며 압도적으로 여성에게 많은 질환입니다. 특히, 쇼그렌 증후군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빨리 의사의 진찰을 받으셔야 합니다.





안구건조증이 일으키는 질환

1. 각막염

눈의 건조나 이물질로 인하여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하는 눈물이 감소합니다. 그것이 원인이 되어 각막의 표면에 상처가 생기거나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키는것이 각막염입니다. 눈의 이물감이나 통증, 충혈, 눈물이 흐르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2. 각막궤양

각막염이 악화되어 각막 상피의 일부가 결손된 상태입니다. 강한 세균감염을 동반합니다. 충혈이나 심한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때로는 대량의 눈꼽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각막궤양을 방치하면 각막에 구멍이 넓어지는 각막천공이 진행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의심되면 빨리 의사의 진찰을 받으셔야 합니다.





안구 건조증 예방 을 위한 일상생활에서 할 수 있는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주 휴식을 취하기

장시간 모니터를 응시하는 경우 중간중간 자주 휴식을 취하셔야합니다. 1시간마다 약 15분정도  눈을 쉬게하고,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체조 나 마사지를 합니다. 또한 스팀타올을 눈꺼풀 위에 올려 놓고 눈을 쉬게하는 방법이 매우 좋습니다. 원시의 경우는 가끔 먼 곳을 바라보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2. PC 나 TV와 적정한 거리 유지

PC 나 TV 화면과 눈의 거리는 40cm이상 떨어져 있도록합시다. 또한 이러한 화면이 자신의 눈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눈이 쉽게 건조하기 쉬워집니다. 화면이 눈높이보다 아래에 위치되도록 의자의 높이와 위치 등을 조절하여야 합니다. 

3. 실내습도 조절

눈의 건조를 막기 위해서 가습기 나 젖은수건을 건조한 실내습도 조절을 위하여 이용하시고, 에어컨 바람이 직접 눈에 닿지 않도록 송풍구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것도 좋습니다.

4. 실내 밝기를 적정하게 유지

실내가 어두운 곳에서는 눈이 건조되기 쉬워집니다. 특히 독서를하거나 세밀한 작업을 할 때는 방 전체를 밝게하거나 부분 조명을 활용하여야 합니다. 또한 PC를 사용할 때는 독서의 경우보다 약간 어두운 실내 조명이 더 눈이 피로ㄹ르 덜어주며, 외부의 빛이 컴퓨터 모니터에 비쳐 들지 않도록 커튼 등으로 차광하여야 합니다.

5. 의식적으로 눈 깜빡임 횟수를 증가

일이나 공부에 집중하면 한점을 응시하게되어 눈이 확사당하게 되는데 이런때일수록 의식적으로 눈 깜박임의 횟수를 많이하고 눈물 분비를 늘려야합니다. 





안구 건조증 대처법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눈을 따뜻하게 해주므로 혈액순환을 촉진

눈을 따뜻하게하면 혈액순환이 좋아지고, 눈 근육의 긴장을 완화하기 때문에 눈의 피로에 효과를 발휘합니다. 스팀타올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눈이 충혈되어 있을때는 염증으로 인해서 차게하는 것이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더운 계절은 눈을 서늟고 차갑게하여 기분좋게 하는 방법이 눈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습니다. 

2. 인공눈물 사용

눈이 건조한 경우에는 눈물과 같은 성분의 염화나트륨과 염화칼륨, 염화칼슘이 들어있는 안약으로 부드럽고 촉촉하게 눈을 보호해 주어야합니다.

3. 병원에서 진찰

강한 가려움증과 통증을 동반하거나 인공눈물로도 해결되지 않을경우 면역의 이상에 의한 각막 장애 및 기타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병원에서 진찰을 받으셔야 합니다.





안구 건조증 예방 및 대처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 안구 건조증 치료는 인공눈물과 안약으로 치료하기도 하지만 그 효과를 더욱 높일 수있는 방법을 마지막으로 안내드릴겠습니다. 점안시 머리를 뒤로 기울여 천장을 응시하도록합니다. 그리고 손으로 아래 눈꺼풀을 가볍게 끌어 당기고, 점안 용기를 눈 바로 위에 갖다대고 점안하여야 합니다. 점안 후 잠시 눈을 감고 인공눈물이나 안약이 눈에 잘 스며들어 안구에 제대로 작용하여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눈과 눈가 그리고 피부에 묻은 여분의 인공누물이나 안약을 티슈 등으로 닦아내어야 합니다. 건조한 계절에 안구 건조증 예방 및 대처법으로 건간한 눈건강을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생활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장질환 증상 알아보기  (0) 2017.11.02
망막질환 황반변성 알아보기  (0) 2017.11.01
탄수화물 섭취량  (0) 2017.09.27
콜레스테롤 원인  (0) 2017.09.26
LDL 콜레스테롤 과 HDL 콜레스테롤 차이  (0) 2017.09.25
댓글